티스토리 뷰

최근 1인 가구의 증가와 함께, 혼자 병원에 가기 어려운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.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서비스가 바로 병원동행서비스입니다. 이 서비스는 특히 고령자와 병원 방문에 어려움을 겪는 모든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병원동행서비스의 다양한 내용과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서울시 홈페이지

 

병원동행서비스란?

병원동행서비스는 혼자서 병원에 가기 힘든 분들을 위해 마련된 서비스입니다. 이 서비스는 환자와 함께 동행하는 매니저가 병원까지 안내하며, 진료와 검사를 받을 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합니다. 구체적으로는 병원으로의 출발 및 귀가 동행, 병원 내 수납 및 진료 동행, 입원 및 퇴원 지원, 약국 방문 동행 등을 포함합니다. 2021년 서울에서 시범 시행된 이후, 이 서비스는 전국으로 확대되어 많은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.

 

 

서비스 제공 지자체

2024년 기준으로, 병원동행서비스는 서울특별시, 경기도(성남, 안산, 광명 등 10개 시), 인천광역시, 대전, 대구, 부산광역시, 광주, 울산광역시, 전주, 청주에서 제공됩니다. 각 지자체별로 서비스의 범위와 신청 방법이 상이하므로, 거주하는 지역의 주민센터에 문의하여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 

지역별 병원동행서비스 신청방법 및 비용

서울특별시

  • 대상 : 1인 가구 및 병원 동행이 필요한 시민
  • 비용 : 시간당 5,000원, 30분 초과 시 2,500원 추가
  • 신청 방법 : 서울시 병원안심동행 콜센터 (1533-1179) 또는 서울시 홈페이지
  • 운영 시간 : 평일 07:00 ~ 20:00, 주말 09:00 ~ 18:00
  • 특이 사항 : 저소득층은 중위소득 85% 이하일 경우 무료 이용 가능.

서울시 홈페이지

 

경기도

  • 대상 : 도내 1인 가구 (연령 및 소득 무관)
  • 비용 : 3시간 5,000원, 30분 초과 시 2,500원 추가
  • 신청 방법 : 경기민원24 또는 각 시군별 추진 기관에 유선 신청

 

경기민원24

 

인천광역시

  • 대상 :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 (소득 하위 70%)
  • 비용 : 무료
  • 신청 방법 : 거주지 행정복지센터

부산광역시

  • 대상 : 돌봄 공백 1인 가구 또는 유사한 상황의 가구
  • 비용 : 1시간 15,000원, 중위소득 50% 이하일 경우 회당 2,000원
  • 신청 방법 : 각 읍면동 주민센터

 

울산광역시

  • 대상 : 병원동행이 필요한 시민
  • 비용 : 1시간 15,000원, 저소득층 본인 부담금 차등 적용
  • 신청 방법 : 거주지 주민센터

 

병원동행서비스병원 방문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에게 필수적인 지원입니다. 특히 1인 가구와 고령자, 신체적 어려움이 있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. 각 지역별로 서비스 제공 내용과 신청 방법이 다르므로, 거주하는 지역의 주민센터에 문의하여 필요한 지원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 서비스를 통해 병원 방문이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.

 

 

댓글